흰 양들이 몰려와 법화경을 들었다는 사찰 - 장성 백양사(長城 白羊寺) 명승 제38호 장성 백양사 백학봉(長城 白羊寺 白鶴峰) 백양사는 처음에는 백암사라고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며 40여 개의 사찰을 관할한다. 631년(무왕 32) 승려 여환(如幻)이 창건하고, 고려시대인 1034년(덕종 3) 중연(中延)이 중창한 후 정토사(淨土寺)라 개칭하였다. 1574년.. 사찰 2014.11.04
능가산에서 벌어진 야단법석 축제의 장 - 내소사 괘불재(來蘇寺 掛佛齋) 보물 제1268호 내소사영산회괘불탱(來蘇寺靈山會掛佛幀) 전북 부안군 진서면 내소사로 243, 내소사 (석포리) 천년의 향기를 간직한 내소사에서 만추의 향기를 더할 괘불재가 지난 10월 4일 열렸다. 올해 세 번째로 많은 사부대중이 모인 가운데 부안 능가산에 괘불재를 알리는 종소리가 널.. 사찰 2014.10.19
서산대사의 호국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곳 -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 사적 제508호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766번지 등 대흥사는 고려 이전에 지어진 사찰로서, 임진왜란 이후 서산대사의 의발이 전수되면서 17~18세기 서산종의 종찰로 선·교 양종의 대 도량 역할을 한 사찰이다. 해남읍에서 동남으로 12㎞ 떨어진 두륜산(대둔산.. 사찰 2014.09.18
땅끝마을에 가면 아름다운 절이 있다.- 해남 미황사(海南 美黃寺) 명승 제59호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海南 達摩山 美黃寺) 달마산 기슭에 자리잡은 미황사 (美黃寺)는 우리 나라 육지 가장 남쪽에 있는 절이다. 미황사 사적비에 따르면 통일신라 경덕왕 8년(749)에 처음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조선 선조 31년(1598)에 다시 지었고, .. 사찰 2014.09.13
한국의 옛 건축 - 초석 활주초석 보물 제1576호 김천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 활주초석 활주초석(活柱礎石) 활주는 팔작지붕 추녀 밑을 받치는 기둥을 말하는데 이 활주 밑에 놓인 초석을 활주초석이라고 한다. 직지사 활주는 팔모기둥으로 되어 있고 활주 초석은 원형이다. 문화유산정보/문화재청 사찰 2014.09.02
한국의 옛 건축 - 기단 가구식기단 보물 제1576호 김천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 가구식기단 기단(基壇) 기단은 집을 지을 때 집을 지면으로부터 높여주어 지면의 습기를 피하기위한 부분을 말한다. 기단의 종류는 많지만 그 중 가구식기단은 고급스런 건축물에 사용하는데 주로 고려시대 이전 건축물.. 사찰 2014.09.02
울울창창한 숲속에 있는 절을 찾아서...- 김천 직지사 보물 제1576호 김천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 경북 김천시 대항면 북암길 89 (운수리) 김천 직지사 대웅전(金泉 直指寺 大雄殿)은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까지는 좌측의 계곡을 끼고 지형에 맞추어 휘어져 올라온 북쪽에 위치하며, 萬歲樓에서 대웅전에 이르기까지는 일직선상.. 사찰 2014.08.29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 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용문사 (내지리) 용문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10년(870) 두운선사가 세운 절이다. 팔만대장경의 일부를 보관하기 위해 대장전을 지었다고 하는데 지은 시기는 알 수 없고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조선 .. 사찰 2014.07.25
석조 예술이 빛나는 경주 불국사(慶州 佛國寺)에 가다 사적 제502호 경주 불국사 (慶州 佛國寺) 경북 경주시 불국로 385, 등 (진현동) 경주 토함산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다. 이후 조선 선조 26년(1593)에 왜의 침입으로 대부분의 건물이 불타버렸다. 이후 .. 사찰 2014.07.22